‘3選’ 둘러싼 이전투구 치명적 自害행위
會창립 50년 이래 볼썽사나운 모습 처음
“회장 자리에 꿀단지 있나”…‘의혹’의 눈
관계당국도 세무사회 향후 추이 주시를
그 단초가 어디에 있든 간에 세무사회 창립 50년을 통해 이 같이 볼썽사나운 모습은 처음 경험한다. 세무사회장의 ‘3선 출마’ 문제를 둘러싼 이러한 세무사계 내부의 평지풍파는 이제 치유가 어려운 심각한 국면으로 치닫고 있다.
회장 ‘3선 출마’를 반대하는 세무사계 내 거대 친목단체들의 성명이 줄을 잇더니 현 집행부내에서도 비판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급기야 정구정 회장의 ‘회무 스텝’인 주요 상임이사진을 비롯한 6개 지방세무사 회장단 마저 정 회장의 3선 출마를 반대하는 고언문(苦言文)을 상서(?)하는 지경에 이르고 있다. 이에 참다 못한 역대 세무사회장들도 끝내 성명서를 내는 참담한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이쯤 되면 사실상의 회무마비다. 작금의 ‘3선 출마’를 둘러싼 동 업계 파장은 일찌감치 예견돼온 터다. 실은 지난해부터 불씨가 일기 시작했다. 불을 지핀 곳은 다름 아닌 세무사회 집행부가 아닌가 한다. 그런데 지금, 이 작은 불씨가 대형화재로 번지고 있는 것이다.
사건의 단초를 돌이켜 보자. 세무사들의 모임인 이른바 ‘세무사미래포럼’의 출발에서 시작됐다는 것이 대체적인 시각이다. 동 포럼 발대식에서 돌출됐던 일련의 소란은 그렇다 치자. 세무사회 집행부는 이 포럼의 출범 취지가 향후 ’제2의 세무사회’를 염두에 둔 사전 포석이라며 이를 '회칙 위반' 행위로 몰아갔다.
어느 특정인을 차기 세무사회장으로 출마 시키려는 의도가 있는 만큼 사전 선거운동에 해당한다는 논리를 내세우며 말이다. 그런가 하면 앞서 대선 후보 초청 조세정책 설명회를 준비하려 했던 서울세무사회장에 대해서도 회규에 입각한 엄중조치를 취하겠다는 경고 메시지도 날렸다. 본회가 주관해야 할 대외 업무를 지방회에서 개최키로 한 것은 분명한 회칙위반이라는 판단에서다.
심지어 이에 책임을 물어 서울 회원의 직접선거로 선임된 서울회장에게 여차하면 징계도 불사하겠다는 으름장도 놓았다. 국외자들 눈에도 너무 지나친 과민반응으로 보였다. 지금에 와서야 그 까닭을 어렴풋이나마 알겠지만 말이다.
이때부터 회원들의 조용한 동요가 일기 시작한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모름지기 회칙 또는 회규는 회원들의 직무상 규범 정립에 제정 이유가 있다는 것을 회원이라면 모를 리가 없다. 납세자의 탈세 방조 내지는 교사 등 회원들의 직무윤리를 바로 세우는데 써야 한다는 것은 상식중의 상식이다.
그것을 고유 업무 수행상의 문제가 아닌 회원들의 행동거지에 까지 확대 해석, 마치 질서범 잡듯 했으니 회원 동의를 얻기 힘들었을 게다. 더구나 세무사회는 공조직이 아닌 전문자격사들의 단체다. 회원 인격 또한 수직적 관계가 아닌 수평적 관계에 있는 그룹이다.
세무사계 내에는 여러 친목단체들이 있다. 그러기에 바람 잘 날 없는 것도 동 업계의 상징이라면 상징이었다. 하지만 화합을 중시하는 집행부의 포용력으로 모든 상황이 ‘찻잔속의 태풍’으로 끝이 났다. 이런 것이 집행부가 취해야 할 ‘그릇’이다.
여타 이익 단체들이야 ’집안 굿‘을 하든 말든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다. 하지만 세무사회는 결코 세무사들만의 회(會)가 아니라는 점을 늘 명심해야 한다. 모름지기 납세자 권익을 담보하는 전문자격사 단체라는 점에서 준(準)공적 성격을 띠고 있기에 그렇다.
이런 의미에서 본지(本紙) 역시 세무사업계 발전에 많은 애정과 관심을 기우려 왔으며 또한 세무사제도 발전에 미력이나마 일익을 해 왔다고 감히 자부한다. 그런데 지금 세무사회를 중심으로 벌어지고 있는 이 같은 소요는 그 본의가 어디에 있든, 외부인들로 부터 의혹의 눈총을 받고 있다.
“세무사회장 자리가 뭐길레 이전투구마저 불사하는 것일까” 행여 ’꿀 단지‘(?)라도 숨어 있는 것 아니냐는 의구심을 사고 있는 것이다. 관계당국도 한국세무사회가 납세협력 단체로서의 준 공적 성격을 띠고 있는 만큼 이번 사태를 방관자의 자세로 일관해서는 안 될 일이다.
정녕 납세자들의 납세의식 계도를 위한 특단의 직업윤리와 직무상의 충분한 소양을 갖추고 있는지도 점검해 봐야 한다. 특히나 회원들의 회비로 조성된 적잖은 규모의 예산 씀씀이도 살펴봐야 한다. 이제 현 회장의 3선(選) 출마 여부는 며칠 후(3월5일 임시총회) 회원들 손에 의해 판가름이 난다.
하지만 이 순간 “박수 칠 때 떠나라”는 사회 저변의 평범한 진리가 새삼 머리를 스친다. 정구정 회장은 누가 뭐래도 동 업계 발전을 위해 주경야독해온 세무사계 수장(首長)임에 틀림이 없다.
하지만 그는 이제 너무도 많은 것을 잃었다. 이런 상황에서 ’회장 3선‘이 관철된들 무슨 소용이 있을까. 2년 전 ‘최다 득표’ 당선이라는 회장 선거 결과를, 행여 “무엇을 해도 좋다”는 회원들의 ‘백지 위임장’ 쯤으로 착각을 했던 것일까. 그에게 깊은 연민(憐憫)의 정(情)을 느끼는 요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