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대학 출신 기술인력 수요 느는데 정책은 여전히 일반대 치중돼

[한국대학신문 허지은 기자] 정부가 추진하는 4차 산업혁명과 관련한 인재양성 정책에 정작 전문대는 소외돼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지난해 11월 대통령직속 4차 산업혁명 위원회는 ‘4차 산업혁명 대응 계획’을 발표하고 “잠재적 혁신 원천인 우수 인적자원의 폭넓은 창출 저변을 확보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앞서 같은 달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대통령이 주재한 ‘2017 대한민국 혁신성장 전략회의’에서 “불확실한 미래를 선명하게 하기 위해서는 미래를 만들어가는 사람을 얼마나 잘 키워내느냐가 중요하다”고 말하면서 이에 맞는 인재를 성장하기 위한 지원 방안으로 ‘직업능력 개발체계의 혁신’을 포함한 4가지 방안을 발표하기도 했다.

그러나 정부의 4차 산업혁명 관련 인재양성 지원 사업은 직업교육에 힘써온 전문대학은 배제한 채 진행되고 있다. 

2018년도부터 교육부가 새롭게 추진하는 총 100억원 규모의 ‘4차 산업혁명 혁신선도대학’은 기존 일반대 LINC+ 산학협력고도화형 선정 대학(55개교)만을 대상으로 심사와 선정이 이뤄졌다.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전문대학(LINC+) 육성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전문대학은 빠졌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2015년부터 선정해온 SW중심대학 역시 4년제 대학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발맞춰 전문대학에도 관련 기술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이 4차 산업혁명 전문가와 전문대학 관계자들의 의견이다.

심진보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은 “4차 산업혁명의 특징은 ‘속도와 다양성’이다. 빠른 속도로 다양한 분야에서 변화가 일어난다. 일반대보다 학제가 짧은 전문대학이 단기간에 필요한 인력을 양성할 수 있다. 일반대에 비해 커리큘럼의 구성과 학과 변경이 용이한 점도 장점”이라고 밝혔다.

또한 “특히 초연결 사회로 접어들면서 유지‧보수‧관리 분야에 많은 인력이 필요하지만 우리나라는 아직 그 수요를 충당하지 못하고 있다. 전문대학이 이러한 분야의 인력을 양성하는 데는 더 강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전문대학 우수전문기술인 교육혁신 총장협의회의 회장인 김영도 동의과학대학교 총장은 “산업 현장에서는 전문계고 출신의 초급기술인력이나 전문대 출신의 중간기술자, 일반대 출신의 엔지니어 등이 모두 필요하다. 정부에서 보다 넓은 시야에서 지원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허정석 울산과학대학교 총장도 “혁신적인 시스템들은 R&D 등의 학문적 연구(일반대학)결과를 기반으로 출현하기도 하지만 사실 많은 혁신이 현장직무 기술과 경험(전문대학)을 토대로 출현하기도 한다”며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인력 양성은 교육과정 수준이나 직무 수준에 관계없이 종합적으로 진행돼야 성과가 있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