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대학신문] 대학들이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프라임사업(PRIME·산업연계 교육활성 선도대학) 에 선정되기위해 사설 컨설팅업체들에게 막대한 예산을 쏟아 붓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 안타까움을 금할 수 없다. 

특히 대학의 재정규모에 따라 컨설팅에 소요되는 비용도 천차만별이어서 대학가에서도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액센취, 맥킨지, 삼일회계법인 등 규모가 큰 컨설팅업체의 비용은 대학에 파견되는 컨설턴트 인원과 활동시간에 비례해 많게는 5억 원에 이른다고 한다.

각 대학들은 컨설팅업체를 통한 보고서로 이미 선정 발표한 에이스사업(ACE·학부교육 선도대학), 대학구조개혁평가 등에 높은 점수를 받았기 때문에  막대한 컨설팅비용을 치르고라도 프라임사업을 수주하는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이다. 

경기도의 한 사립대 관계자는 “과거 교육부에서 재정지원제한대학에 대한 컨설팅을 한 적이 있는데 모 컨설팅업체는 1차 진단이 완료된 상태였는데도 불구, 방안제시와 구체적인 전략 등을 도출하겠다며 추가로 2억 원을 더 달라고 요구했다”고 토로했다.

교육부는 산업수요에 맞춰 이공계 인력을 늘려야 한다며 프라임사업에 2362억 원을 편성했다.

교육부가 지목하고 있는 유망분야는 바이오의약, 신소재나노, 첨단도시, 로봇기술 등 이공계에 몰려있는데 이는 박근혜 정부의 교육기조이기도 하다.

각 대학들은 프라임사업을 통해 미래유망 분야 관련 학과의 정원을 늘리면 최소 50억원에서 최대 300억 원의 재정을 지원받을 수 있어 컨설팅을 통해 높은 점수를 받아 사업선정대상이 되기 위해 컨설팅업체에 ‘돈 다발’을 들고 줄을 서고 있는 상황이 연출되고 있다.

지방의 한 사립대 관계자가 “우리 대학은 규모도 작고 돈도 없어 컨설팅은 엄두도 못 낸다”며 “돈 많고 재정이 튼튼한 대학들이 부럽다”고 푸념한 것은 남 얘기 같지 않다.

결국 재정이 튼튼한 돈 많은 대학이 프라임사업 지원을 받게 되는 형국이다. 또  컨설팅을 통해 만들어진 보고서 내용은 천편일률적으로 포장화되어 있어 대학은 본교의 의지와 상관없이 정부재정사업계획을 돈주고 사는 꼴이 되는 셈이다. 학교의 추진내용이나 계획은 다른 평가대학과 같거나 부실한데도 유수 컨설팅업체를 통한 그럴듯한 보고서로 등급을 높이 받아 정부재정지원사업을 따낸 사례에 대해 대학사회에서 아는 사람은 다 안다.

각 대학들이 정확한 상황파악과 진단에 별다른 혁신의지나 아이디어가 없으면서 오로지 사업수주를  위해 컨설팅업체를 통해 ‘돈 놓고 돈 먹기’식의 악순환 관행을 되풀이 한다면 당초 취지의 정부재정지원사업은 정부예산만 낭비하게 된다.  

돈으로 치장한, 눈에 확 들어오는 그럴듯한 보고서가 아니라 진정으로 창의인재를 육성해 고등교육을 발전시키고 국가경쟁력을 고양시킬수 있는 계획인지를 가지고 제대로 평가해서 프라임사업 선정을 해야 사업취지를 백프로 살릴 수 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