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연구원 홍진기 박사, 대학의 시장수요 반영 필요성 강조

[제주=한국대학신문 이연희 기자]공학 및 기술개발에 매몰되던 기존 산학협력의 정의를 박근혜정부 슬로건인 ‘창조경제’에 맞게 재정의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26일 제주 그랜드호텔에서 열린 제40회 전국대학연구·산학협력관리자협의회(회장 정관수, 이하 전연산) 세미나에서 산업연구원 홍진기 박사는 “이공계 중심 산학협력에 탈피해 인문사회 및 예체능 분야의 산학협력 참여를 적극적으로 유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근 국내에서 고부가가치 서비스산업이 새로 성장해나감에 따라, 정부와 대학, 기업에서 사회 수요를 반영한 인력양성에 초점을 맞춰 키우는 데 집중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홍 박사는 ‘창조산업은 특허, 실용신안, 상표, 디자인 등과 같은 지식재산에 의해 창출된다’는 '창조경제(The Creative Economy)'의 저자 존 호킨스의 주장을 언급하며, “국내에서 창조산업이란 우리나라가 강점을 갖고 있는 제조업 기반 주력산업에 신성장동력산업과 존 호킨스의 창조산업 형태를 융복합한 형태로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그는 새 정의에 맞게 대학들은 산학협력을  △시장수요 맞춤형 인력 양성 △대상 및 지원수단 확대 △참여분야 확대 △창업교육 및 지원 강화 △기업밀착형 등에 포커스를 맞춰 추진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시장수요 맞춤형 인력 양성 방안은 지역산업에 학과 전공을 연계해 특성화 하고, 기업수요 맞춤형 심화 교육과정을 도입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학부교육의 현장성을 높이기 위해 현장실습과 Co-Op, 인턴십 등을 적절히 활용하고, 이공계 분야에 제한돼있다고 여겨지던 캡스톤 디자인을 인문사회 분야 등으로 확대 실시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인문사회 및 예체능 분야를 산학협력에 폭 넓게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방안도 나왔다. 인문계열은 지난 2월 정부 부처 업무보고 때 언급됐듯 지식-인적자원 플랫폼, 인문브릿지, 인문일자리연구회, 인문창업, 인문터치산업육성 등 5대 분야를 중심으로 산학협력을 추진하고, 사회계열은 관련 기업 지원과 창업 촉진을 통해 지식서비스산업 육성으로 연결 짓는 방식이다. 예체능 계열은 학교기업 제도를 활용한 교육서비스 플랫폼을 확산해나가는 방식이 제안됐다.

재학생들의 창업을 독려하는 정부의 지원 강화 정책에 더해, 창업 활성화를 위한 대학 시스템 및 제도개선이 병행돼야 한다는 제언도 이어졌다.

홍 박사는 “대학별 간접비를 기술창업 등에 투자할 수 있도록 규정을 개정하거나 산학협력단의 수익사업을 일부 허용하도록 제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며 “최대 5년에 불과한 교수창업기간을 연봉 축소를 전제로 연장하거나, 기술을 사업화 하는 데 필요한 자금 지원을 확대하는 등의 조치를 통해 교원과 연구원의 창업을 촉진하는 등의 지원책이 뒷받침 돼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